무렇다
남유럽에 위치한 몰타 공화국의 비늘도마뱀 본문
몰타는 처음 들어본 나라여서 바로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왜 몰랐을 까요. 자연적으로도 가장 제가 좋아하는 분위기의 장소인데 바다는 정말 깨끗이 아니라 투명하기 때문에 수영을 해보고 싶은 곳이면서 사진과 영상으로 소장을 하고 싶은데 딱 날씨도 겨울에만 비가 내리고 그 외에는 좋은 날씨이니 가보고 싶네요.
행정구역의 가장 큰 단위는 섬 그 자체이며, 몰타섬과 고조 섬 두 개가 있고 두 섬 사이에 있는 코미노 섬은 인근 고조 섬의 도시인 아인실렘에서 관할한다고 합니다. 몰타의 수도는 발레타이며 최대 도시는 비르키르 카라이면서 이탈리아의 시칠리아섬에서 남쪽으로 93킬로미터 떨어져 있으며 지중해의 한가운데에 있고 튀니지의 동쪽이고 리비아의 북쪽에 있고 몰타 내에서는 오직 세 곳의 섬인 몰타섬, 고조 섬, 코미노 섬에만 사람이 살고 그보다 작은 나머지 섬들은 무인도다고 합니다. 해안선을 따라 만이 형성되어 있어 항구가 생기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고 비가 많이 내릴 때 강이 생기기도 하지만 강이나 호수라고 부를 만한 것들은 몰타에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작은 물줄기가 가끔씩 섬 전역에서 발견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보통 몰타의 남쪽 속령 제도가 유럽의 가장 남쪽이라고 여겨지지만 사실은 그리스의 가브 도스 섬이 유럽에서 최남단에 있고 면적은 316km^2로 302km^2인 대한민국의 강화도보다 조금 더 큰 면적이면서 몰타의 기후는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로서 여름에는 아열대 고압대의 영향을 받아서 고온 건조하고, 겨울에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서 온난 습윤하며 때문에 식물은 휴면기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고 여름에는 고온으로 채소가 말라죽기 쉽다고 합니다. 사실상 몰타에는 여름과 겨울밖에 없다고 볼 수 있어서 관광객들을 사로잡을 만한 매력을 갖고 있고 우리가 생각하는 봄에 해당하는 기간에는 바람이 많이 불어서 시원하기도 하며 식수 공급이 최근 몰타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고 여름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 데다가 물 소비도 가장 많은 탓이면서 참고로, 호수랑 강이 없는 곳이면서 몰타에서는 대부분 지하수를 이용하는데 수로 터널 시스템을 갖고 있어서 평균 수심 97m로 유지한다고 합니다. 2007년 1월 미국의 월간 잡지인 인터내셔널 리빙지는 몰타를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으로 발표했다고 합니다.
비늘 도마뱀붙이
비늘 도마뱀붙이류의 비늘은 서로 겹쳐져 있고 골화되어있었고 빌헬름 조세프 슈미트는 1911년경에 비늘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슈미트는 어렵게 비늘의 이질성과 서로 겹쳐진 모양에 대해 언급했으며 슈미트는 비늘의 서로겹침은 비늘의 폴딩의 결과이며 본질적으로 단일층보다는 이중층으로 놓여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그는 세밀한 삽화를 통해 비늘의 중심이 불규칙적인 결정의 형태로 골화되었다는 것 또한 보여주었고 Scherz와 동료들은 마이크로-CT 스캔을 통해 큰비늘도마뱀붙이와 다른 종들이 동일한 수준, 즉 뼈 수준의 X레이 감쇠를 보여주며, 이 또한 골편의 존재를 뒷받침한다고 결론지었고 그들은 슈미트의 삽화처럼 비늘의 끝부분을 보여주듯이 골화되지 않았다고 적었고 펠루과 동료들은 참 비늘도마뱀붙이류로 추정된 것의 골피를 조직학적 수단을 통해 연구하였으며 다른 도마뱀붙이, 주로 토케이 게코와 무어 게코의 골피와 비교하였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골피가 다른 종류의 골피와 크게 다르며, 제 3의 수렴진화를 보여준다고 말했고 어쩐지 장갑도마뱀의 골피를 닮았으며 비늘도마뱀붙이류의 비늘은 19세기부터 떼어버릴 수 있다고 알려져있었고 알프래드는 1983에 비늘이 벗겨지는 것을 막기 위해 솜뭉치로 감싸두어 포획한 개체에 대해 묘사했다고 합니다. 비늘이 벗겨지면 다시 재생되며 원래의 비늘과 구분할 수 없었고 이러한 비늘의 탈착, 재생에 관한 해부학적 기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스츄베와 동료들이 이를 연구하였다고 합니다. 그들이 수행한 연구를 통해 이는 비늘도마뱀붙이류의 '해부학적 피부 이완 기제' 뿐만 아니라, 외피와 그 밑의 연결조직 사이에 미리 형성된 손쉽게 박리되는 영역 덕택이며, 이는 박리 영역의 근섬유 모세 포망이 수축하여, 혈관 수축을 통해 혈액 손실을 최소화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고 아론과 동료들은 이러한 발견에 의문을 가졌지만, 오로지 외피 안쪽의 박리 영역에 대한 것이었고, 그 아래에 대해서는 아니었고 이후로 이러한 기제를 제대로 탐구한 연구는 아직 없지만, 이에 대한 요청은 특히 인간용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을지 모를 재생 특성에 관해 반복적으로 행해져 왔다고 합니다. 다양한 비늘 차례 때문에 분류가 난해하며 최근의 분류적, 유전적 조사를 통해 이 속에 몇몇 은폐 종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동료들은 2016년에 코모로 제도에 자생하는 곳에 다시 떼어냈다고 합니다. 2017년에는 스카 추와 동료들이 앙카라 나국 립공원의 뾰족한 석회암 카르스트 지대에서 발견한 큰 비늘 도마뱀붙이에 대해 최초로 기술하였고 이 종은 다른 어떤 비늘 도마뱀붙이 류보 다도 비늘이 크지만, 골 학적 측면에서도 고유한 특징이 있었고 분류적 정체성은 불확실한 채로 남아있었다고 합니다.
비늘이 있는 성체와 없는 성체를 보았을 때 없는 아이는 정말 위협에 금방 터질 것 같은 피부를 가지고 있는데 과연 야상에서는 어떻게 잘 사는 걸까요? 무엇보다도 비늘을 왜 쉽게 떼어버릴 수 있는 종으로 되었는지가 궁금하면서 정말 한 종을 알기 위해서 많은 학자들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출처 - 백과사전
'애정 가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의 뿔에 있는 소말리아 연방공화국의 표범무늬거북 (0) | 2022.01.20 |
---|---|
서아프리카에 있는 내륙국 니제르 공화국의 유로메스틱스 (0) | 2022.01.19 |
서아프라카 대서양 연안에 있는 라이베라의 푸른혀 (0) | 2022.01.17 |
아프라카 동부쪽 말라위의 애완카멜레온 (0) | 2022.01.16 |
서아프리카의 가나공화국의 스콰 마타 (0) | 2022.01.15 |